아데노신 이인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데노신 이인산(ADP)은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에너지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자이다. ADP는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되며, 생체 내 에너지 순환에 기여한다. ADP는 세포 호흡의 이화작용, 해당과정, 시트르산 회로, 산화적 인산화 과정에서 ATP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혈소판 활성화에도 관여하여 혈액 응고를 돕는다.
ADP의 순환 과정은 생물학적 에너지 시스템에서 일을 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즉 하나의 화합물에서 다른 화합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열역학적 과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에너지는 저장된 형태인 위치 에너지와 물체의 운동 결과로 나타나는 운동 에너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ATP의 중요성은 인산기 사이의 고에너지 인산 결합 내에 화학적인 위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에 있다.[16][1]
정상 상태일 때, 작은 원반 모양의 혈소판은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고 혈액 속을 자유롭게 순환한다. 아데노신 이인산(ADP)은 혈소판 내의 밀집 소체에 고농도로 저장되어 있다가, 혈소판이 활성화되면 방출된다. 방출된 ADP는 혈소판 표면에 있는 ADP 수용체군(P2Y1, P2Y12, P2X1)과 상호작용하여 혈소판의 활성화를 유도한다.[14]
2. 생체에너지학
ATP가 ADP와 무기 인산(Pi)으로 가수분해될 때, ATP 1 몰당 약 30.5 킬로줄(7.3 칼로리)의 에너지가 방출되며, 이 에너지는 다양한 생명 활동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17][3] ADP는 음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화학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을 통해 다시 ATP로 전환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이 과정은 주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산소 호흡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행된다.[16][2] 식물은 광합성의 명반응 과정에서 햇빛으로부터 에너지를 전환하고 저장하기 위해 ADP를 ATP로 전환한다.[17][3] 또한 식물도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산소 호흡을 통해 ATP를 생성할 수 있다. 동물들은 포도당과 다른 호흡 기질들의 분해 과정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이용해서 ADP를 ATP로 전환시키며, ATP에 저장된 에너지는 세포의 성장과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로 사용될 수 있다.[2]
3. 세포 호흡
ADP의 순환 과정은 생물학적 에너지 시스템에서 일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며, 이는 한 화합물에서 다른 화합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열역학적 과정이다.[16][1] ATP의 중요성은 인산기 사이의 고에너지 인산 결합 내에 화학적인 위치 에너지를 저장하는 능력에 있다. ATP의 인산 결합 중 하나가 파괴되어 ADP와 Pi으로 가수분해될 때, ATP 1 몰당 약 7.3 kcal(30.5 kJ)의 에너지가 방출되며, 이 에너지는 다양한 생명 활동에 사용된다.[17][3] 예를 들어, ATP에서 단백질 마이오신으로 에너지가 전달되면 근육 수축 동안 액틴에 결합할 때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난다.[16][1] 이러한 이유로 생물 시스템은 ADP를 다시 ATP로 합성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보충하는 방법을 진화시켜왔다.[16][2]
ADP는 음식물에서 얻는 화학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을 통해 ATP로 전환될 수 있다. 사람의 경우, 이 과정은 주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산소 호흡(유산소 호흡)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행된다.[16][2] 식물은 광합성의 명반응 과정에서 햇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ADP를 ATP로 전환하며,[17][3] 동시에 동물과 마찬가지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산소 호흡을 통해 ATP를 생성할 수도 있다.[17] 동물은 포도당과 같은 호흡 기질을 분해하여 얻은 에너지를 이용해 ADP를 ATP로 전환시키며, 이렇게 ATP에 저장된 에너지는 세포의 성장과 유지 등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2]
세포 호흡은 ADP를 ATP로 전환하는 핵심적인 과정으로, 크게 해당과정, 시트르산 회로, 산화적 인산화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해당과정은 모든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기본적인 대사 경로로, 세포질에서 진행되며 산소 유무와 관계없이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포도당 한 분자가 두 분자의 피루브산으로 분해되면서 소량의 ATP가 생성된다. 해당과정의 전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20]
: 포도당 + 2 NAD+ + 2 Pi + 2 ADP → 2 피루브산 + 2 ATP + 2 NADH + 2 H2O
3. 1. 이화작용
이화 작용은 복잡한 유기 분자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이다.[4] 해당과정은 포도당 분해 시 자유 에너지 방출의 초기 단계이며, 10단계의 반응으로 구성된다. 이 과정은 크게 에너지 투자기(준비 단계)와 에너지 회수기(보상 단계)로 나눌 수 있다.[4] ADP와 인산은 시트르산 회로(TCA 회로) 및 산화적 인산화 과정에서 ATP를 합성하는 데 필요한 전구물질이다.[4][18]
해당과정의 에너지 회수기(보상 단계) 동안, 효소인 포스포글리세르산 키네이스와 피루브산 키네이스는 기질수준 인산화를 통해 ADP에 인산기를 첨가하여 ATP를 생성하는 반응을 촉매한다.[5][19] 해당과정의 전체 순반응은 다음과 같다.[6]
:포도당 + 2 NAD+ + 2 Pi + 2 ADP → 2 피루브산 + 2 ATP + 2 NADH + 2 H2O
해당과정의 1단계와 3단계에서는 ATP가 ADP와 무기 인산(Pi)으로 가수분해되면서 에너지가 투입되고, 7단계와 10단계에서는 ADP가 투입되어 ATP가 생성된다.[7] 해당과정에 필요한 효소들은 세포를 채우는 액체 성분인 세포질에서 발견되며, 이곳에서 해당과정 반응이 일어난다.[1]
3. 2. 해당과정
해당과정(Glycolysis)은 모든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10단계의 반응 과정으로[20][6], 포도당 1분자를 2분자의 피루브산으로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기본적인 물질대사 경로이다. 이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2분자의 ATP와 2분자의 NADH가 생성된다. 해당과정은 세포 내의 세포질에서 일어나며, 산소가 있든 없든 진행될 수 있다.[1]
해당과정의 전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20][6]
: 포도당 + 2 NAD+ + 2 Pi + 2 ADP → 2 피루브산 + 2 ATP + 2 NADH + 2 H2O
해당과정은 크게 두 단계, 즉 에너지 투자기와 에너지 회수기로 나눌 수 있다.[18] 에너지 투자기(1단계, 3단계)에서는 ATP 2분자가 ADP와 무기인산(Pi)으로 가수분해되면서 에너지를 공급한다.[21][7] 에너지 회수기(7단계, 10단계)에서는 ADP로부터 ATP 4분자를 생성한다.[21][7] 이 단계에서는 기질수준 인산화를 통해 포스포글리세르산 키네이스와 피루브산 키네이스 같은 효소들이 ADP에 인산기를 직접 전달하여 ATP를 만든다.[19] 따라서 해당과정 전체적으로는 포도당 1분자당 2분자의 ATP를 순생산하게 된다.
생성된 ADP와 인산기는 이후 시트르산 회로와 산화적 인산화 과정에서 다시 ATP를 합성하는 데 필요한 전구물질로 사용된다.[18]
3. 3. 시트르산 회로
시트르산 회로는 크렙스 회로 또는 TCA 회로(tricarboxylic acid, 트라이카복실산 회로)라고도 불린다. 이 회로는 해당과정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을 이용하여[8] 8개의 단계를 거치며, 1회전당 3개의 NADH, 1개의 FADH2, 1개의 GTP(ATP)를 생성한다.[22][8] 시트르산 회로에서 ADP가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부분은 5단계이다.[9] 이 단계에서는 석시닐-CoA 합성효소에 의해 먼저 GTP가 생성되고, 이 GTP가 ADP와 반응하여 ATP를 생성한다.[23][9]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GTP + ADP → GDP + ATP.[23][9]
3. 4. 산화적 인산화
산화적 인산화는 NADH 또는 FADH2로부터 전자전달계를 통해 최종 전자수용체인 O2로 전자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ATP를 생성하는 대사 경로이다. 이 과정은 세포 호흡에서 생성되는 ATP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포도당 한 분자당 약 28개의 ATP 분자를 만들어낸다.[24]
NADH나 FADH2에 저장된 고에너지 전자가 전자전달계를 거쳐 산소로 전달될 때 에너지가 방출된다. 이 에너지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경계로 양성자(H+)를 막 사이 공간으로 능동 수송하여 양성자 농도 기울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25] 이렇게 형성된 양성자 농도 기울기는 일종의 위치 에너지로 작용하며, 양성자가 농도가 높은 막 사이 공간에서 농도가 낮은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ATP 생성효소를 통해 확산될 때 이 에너지가 방출된다.[25] ATP 생성효소는 이 에너지를 이용하여 ADP와 무기 인산(Pi)을 결합시켜 ATP를 합성한다. 이 반응은 ADP + Pi → ATP 로 나타낼 수 있다.
전자전달계를 통한 전자의 이동(산화)과 화학삼투를 통한 ATP 합성(인산화)이 서로 연결되어 일어나기 때문에 이 과정을 산화적 인산화라고 부른다.[1] 해당과정과 시트르산 회로에서 생성된 NADH와 FADH2는 산화적 인산화 과정에 필요한 전자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26][27]
ATP 생성효소 복합체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박혀 있는 FO 부분과 미토콘드리아 기질 쪽으로 돌출된 F1 부분으로 구성된다. 양성자가 FO 부분을 통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가 F1 부분의 구조 변화를 유도하고, 이 변화가 ADP와 무기 인산을 결합시켜 ATP를 만드는 반응을 촉진한다.
4. 혈소판 활성화
혈액 내의 ADP는 엑토-ADPase의 작용에 의해 아데노신으로 전환된다. 이렇게 생성된 아데노신은 아데노신 수용체를 통해 추가적인 혈소판 활성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참조
[1]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2]
웹사이트
Adenosine Triphosphate
http://hyperphysics.[...]
Georgia State University
[3]
웹사이트
The Nature of ATP
http://www.emc.maric[...]
[4]
논문
Regulation of glucose and glycogen metabolism during and after exercise
2012-03
[5]
논문
Reconstructing the mosaic glycolytic pathway of the anaerobic eukaryote Monocercomonoides
2006-12
[6]
웹사이트
Glycolysis
http://www.csun.edu/[...]
CSUN.Edu
2013-04-03
[7]
웹사이트
10 Steps of Glycolysis
http://biology.about[...]
2013-05-10
[8]
웹사이트
Citric Acid Cycle
http://web.ku.edu/~c[...]
Takusagawa’s Note
2013-04-04
[9]
웹사이트
Biochemistry
http://www.uccs.edu/[...]
UCCS.edu
[10]
웹사이트
Oxidative phosphorylation
https://www.ncbi.nlm[...]
W H Freeman, 2002
2013-04-04
[11]
웹사이트
Electron Transport Chain (Overview)
http://www.csun.edu/[...]
CSUN.edu
2013-04-04
[12]
논문
NAD+ metabolism in health and disease
2007-01
[13]
서적
Har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McGraw-Hill
[14]
논문
The role of ADP receptors in platelet function
http://www.bioscienc[...]
[15]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16]
웹인용
Adenosine Triphosphate
http://hyperphysics.[...]
Georgia State University
2019-03-31
[17]
웹인용
The Nature of ATP
http://www.emc.maric[...]
2019-03-31
[18]
저널
Regulation of glucose and glycogen metabolism during and after exercise
2012-03
[19]
저널
Reconstructing the mosaic glycolytic pathway of the anaerobic eukaryote Monocercomonoides
2006-12
[20]
웹인용
Glycolysis
http://www.csun.edu/[...]
CSUN.Edu
2019-03-31
[21]
웹인용
10 Steps of Glycolysis
http://biology.about[...]
2019-04-01
[22]
웹인용
Citric Acid Cycle
http://web.ku.edu/~c[...]
Takusagawa’s Note
2019-03-31
[23]
웹인용
Biochemistry
http://www.uccs.edu/[...]
UCCS.edu
2019-03-31
[24]
웹인용
Oxidative phosphorylation
https://www.ncbi.nlm[...]
W H Freeman, 2002
2019-03-31
[25]
웹인용
Electron Transport Chain (Overview)
http://www.csun.edu/[...]
CSUN.edu
2013-04-04
[26]
저널
NAD+ metabolism in health and disease
2007-01
[27]
서적
Har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McGraw-Hill
2019-03-31
[28]
저널
The role of ADP receptors in platelet function
http://www.bioscie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